TECHMOS

Tech, Trends, and Daily Life — All in One Orbit

기술과 트렌드, 일상까지 한 궤도에

근로기준법 2

쉬는 날에도 출근해야 하는 직종들 – 대체휴무 없는 업종은?

쉬는 날에도 출근해야 하는 직종들 – 대체휴무 없는 업종은?임시공휴일이나 대체공휴일이 생기면 대부분은 달력부터 확인하며 “쉰다!”는 기대를 갖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모든 업종이 ‘공휴일=휴일’이 아닌 것, 알고 계셨나요?본 글에서는 공휴일에도 정상 근무하는 직종과 왜 대체휴무가 적용되지 않는지를 근로기준법과 업종 특성, 현장의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정리해드립니다.공휴일의 법적 기준: 모두에게 적용되는 건 아니다먼저, 공휴일에 반드시 쉬어야 하는 법적 근거부터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원래는 공무원 및 공공기관 직원에게만 적용2021년부터 민간기업에도 단계적 적용: 5인 이상 사업장, 30인 이상은 의무 적용5인 미만 사업장: 여전히 공휴일, 대체휴일, 임시공휴일 의..

임시공휴일, 민간기업도 의무일까? 근로기준법으로 본 실제 영향

임시공휴일, 민간기업도 의무일까? 근로기준법으로 본 실제 영향임시공휴일의 정의와 지정 절차우리나라에서 ‘임시공휴일’은 법정공휴일과는 다른 성격을 가집니다. 국가가 특정 목적(소비 진작, 국민 위로, 이벤트 등)을 위해 대통령령이나 국무회의 의결로 일시적으로 지정하는 날입니다. 법적 근거는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명시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대통령이 주관해 지정 공표합니다.대표적인 예로는 어린이날이 금요일이나 월요일과 겹치는 경우, 징검다리 휴일을 활용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는 경우입니다. 그러나 이는 관공서(공공기관)를 기준으로 한 휴일일 뿐, 모든 국민에게 강제되는 것은 아닙니다.민간기업에는 임시공휴일이 강제일까?많은 직장인들이 “임시공휴일도 유급휴일이야?”라고 묻곤 합니다. 결론부터 말하면,..